건축6 AI와 건축 툴-렌더링의 자동화? 건축설계 직종이 속한 AEC(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산업은 여타 산업들에 비해 디지털로의 전환, 변화에 대응하는 속도가 느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리 디지털 툴이 발전해도 결국에는 실재하는 건물을 지어야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물리적인 힘에 의존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이 그 이유일 수도 있겠는데요.하지만 최근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을 자동으로 해주는 서비스, 건축 렌더 이미지를 십수초 안에 생성해내는 회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제가 굉장히 흥미롭게 접한 LookX라는 AI 렌더링 서비스를 사용해보고 소개해보고자 합니다.최신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이름이 Look'X'라서 처음에는 이.. 2023. 12. 23. Kidosaki House / 키도사키 주택 키도사키 주택은 도쿄 세타가야 구의 단독주택지에 지어진 건물이며 스미요시 주택으로부터 약 10년 가량이 지난 뒤 지어진 건축물이다. 프로그램은 한 부부와 양가의 부모님들을 위한 주택으로 600제곱미터의 꽤나 넓은 부지에 세 가구를 위한 생활공간으로 구성되어있다. 부지의 형태는 약간의 경사를 가진 평행사변형꼴이며 그 모양이 정방형과 흡사하다고도 할 수 있다. 안도는 키도사키 주택에서도 그의 특징적인 form-making 방식을 활용했는데 기초적인 기하학적 형상(정사각형, 사각형, 호)을 기반으로 이를 수평적으로 이어붙임과 동시에 수직적으로 그 높이에 차이를 두어 다양한 건축적 요소를 연출했다. 이 건축물의 주요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1. 빛의 다양한 활용: 안도의 대표작 빛의 교회를 비롯해 .. 2021. 2. 28. Maison Citrohan(1922) 메종 시트로엥(1922)은 실제 건축되지는 않았고 구상안으로서 프랑스 가을전람회에 공개된 르 꼬르뷔지에의 초기 작품 중 하나다. 메종 시트로엥, 다시 말해 '시트로엥형 주택'은 1920년-그가 '르 꼬르뷔지에'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한 해이기도 하다-에 그 초기안이 나왔는데 거기서 필로티의 추가를 통한 계단부의 변화, 1층 레벨의 하강이 주요 변화사항이다. 그의 초기 주택 건축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는 아래와 같다고 생각한다. 1. 직육면체형의 외형을 주로 사용하며 내부에는 직선과 곡선을 혼합하여 사용. 곡선을 사용할 때에는 주로 원형 계단이나 벽체를 활용. 2. 층과 층 사이를 이어주는 계단이 여러개임. 외부+내부 혹은 내부(직선형)+내부(곡선형)로 구성됨. 3. 테라스의 잦은 사용. 단, 수.. 2021. 2. 10. Sumiyoshi Row House / 스미요시 주택 (2) 앞서 1편에서 말했듯 스미요시 주택 중정에 위치한 다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그 위치와 크기에 따라 중정을 향해 열린 부분의 파사드의 형태를 바꾸어놓는다. 이를 간단히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그래스호퍼를 통해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흐름은 'x 입력값을 바꿈 -> profile이 변함 -> 다리의 모양이 변함 -> 중정부의 파사드 모양이 변함' 이다. 먼저 x값에 따라 다리의 모양이 변하는 과정까지를 만들어보겠다. 그래스호퍼의 Move 컴퍼넌트에 기준 커브, 난간 두께값, x값을 넣어주면 각 꼭짓점을 만들 수 있으며 이들을 Pline 컴퍼넌트로 이어주면 단면 커브를 얻을 수 있고 다시 이 커브를 Orient 컴퍼넌트를 이용해 다리의 Path Crv에 정렬한 뒤 Sweep1 컴퍼넌트를 사.. 2021. 2. 5. Sumiyoshi Row House / 스미요시 주택 (1) 근대의 건축 거장을 뽑으라면 일본의 건축가인 안도 다다오를 빼놓을 수는 없을 것이다. 나 또한 고등학생 때 그의 저서인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를 읽고 큰 인상을 받았던지라 그의 작품들에서는 어딘지 모르게 친숙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이번에는 안도의 대표작 중 하나인 '스미요시 주택'을 모델링하고 분석해보았다. 잡지책 읽듯이 사물을 쓱 훑어보는 것과 문학책을 꼼꼼하게 읽듯 사물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은 전혀 다른 행위다. 나 또한 평소 건축 도록을 쓱 훑어보고 넘기는 안좋은 습관이 있었는데 이번 모델링을 통해 안도의 건축물에 대한 이해를 조금이나마 높이는 기회로 삼고자 했다. 스미요시 주택은 일본 오사카 주택가에 위치했으며 그 부지의 모양이 매우 특이하다. 입구를 정면으로 했을 때 세로로 약 14m, .. 2021. 2. 4. 라이노 플러그인 설치법 라이노를 사용하시다보면 추가적인 플러그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스호퍼 플러그인 bifocals의 예시를 통해 그 설치법을 배워보겠습니다. 1. 원하는 플러그인 파일을 찾는다: food4rhino(https://www.food4rhino.com/)라는 사이트에서는 대부분의 라이노 플러그인을 제공합니다. 여기에 들어가셔서 원하는 플러그인을 찾으면 됩니다. 저의 경우 Bifocals를 검색해보겠습니다. 2. 설치하려는 플러그인을 찾았으면 로그인 후 파일을 다운받는다: Bifocals의 경우 .exe 포맷의 Installer 파일과 .gha(Grasshopper Assembly) 포맷의 파일을 제공합니다. 전자의 경우 일반 설치 프로그램처럼 실행만 하면 알아서 다 해주고 후자의 경우 본인이 직접 파일을 .. 2020. 11.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