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Sumiyoshi Row House / 스미요시 주택 (2)

by 돌멩이와 쥐 2021. 2. 5.

앞서 1편에서 말했듯 스미요시 주택 중정에 위치한 다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그 위치와 크기에 따라 중정을 향해 열린 부분의 파사드의 형태를 바꾸어놓는다. 이를 간단히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그래스호퍼를 통해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흐름은 'x 입력값을 바꿈 -> profile이 변함 -> 다리의 모양이 변함 -> 중정부의 파사드 모양이 변함' 이다. 먼저 x값에 따라 다리의 모양이 변하는 과정까지를 만들어보겠다.

그래스호퍼의 Move 컴퍼넌트에 기준 커브, 난간 두께값, x값을 넣어주면 각 꼭짓점을 만들 수 있으며 이들을 Pline 컴퍼넌트로 이어주면 단면 커브를 얻을 수 있고 다시 이 커브를 Orient 컴퍼넌트를 이용해 다리의 Path Crv에 정렬한 뒤 Sweep1 컴퍼넌트를 사용해 아래와 같은 형태의 brep을 얻을 수 있다.

 

좌측의 Number Slider에서 입력값을 바꾸어주면 다리의 모양도 바로 바뀐다.

 

처음의 그림에서 우리는 동그라미 친 점을 기준으로 중정부 파사드가 변함을 알 수 있으므로 다리 brep에서 저 점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음 코드의 입력값으로 사용하도록 하겠다.

 

소형 주택이라 기준선을 수동으로 넣어도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았으나 이렇게 수동으로 많은 입력값을 넣는 것은 지양해야할 부분이다.

 

데이터 트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코드가 길어진 감이 없지 않아 있으나 구조는 간단하다. 콘크리트 벽체는 Extrude를 할 것이고 창문과 문은 Box Morph를 이용해 구현할 것이다. 콘크리트 벽체는 형태가 직육면체이며 Box Morph 또한 Target Box가 직육면체 모양이므로 모두 Extrude-Cap을 이용해 만들어준다고 보면 된다. Extrude에 필요한 입력값은 몇 개의 기준선과 위에서 만든 다리에서 꺼낸 좌표값을 이용해 위와 코드와 같이 만들어준다. 기준선과 점을 바탕으로 Move를 열심히 하고 z방향 벡터를 만들어내 extrude하는 일차원적인 작업이다. 다만 Morph를 할 때에는 원하는 방향으로 문이 정렬되지 않아 Mirror를 사용해 다시 정렬해주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아래와 같이 x값의 조정을 통해 다리의 모양과 창과 문 등의 배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의도적으로 문의 폭은 일정하게 되도록 만들었다.

 

처음에는 다리의 단면 모양을 못 그리겠어서 이를 스터디하기 위해 시작했으나 단면의 모양과 상관관계를 가진 요소들까지 연결해보고 싶은 마음에 더 길게 만들어보았던 것 같다. 그래스호퍼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역시 더 많은 디자인을 시험해볼 수 있다는 것이며 이렇게 case by case로 코드를 만들 수도 있으나 다양한 경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코드들을 미리 준비해놓는 것도 우리들의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와 건축 툴-렌더링의 자동화?  (0) 2023.12.23
Kidosaki House / 키도사키 주택  (0) 2021.02.28
Maison Citrohan(1922)  (0) 2021.02.10
Sumiyoshi Row House / 스미요시 주택 (1)  (0) 2021.02.04
라이노 플러그인 설치법  (0) 20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