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AI와 건축 툴-렌더링의 자동화?

by 돌멩이와 쥐 2023. 12. 23.

건축설계 직종이 속한 AEC(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산업은 여타 산업들에 비해 디지털로의 전환, 변화에 대응하는 속도가 느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리 디지털 툴이 발전해도 결국에는 실재하는 건물을 지어야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물리적인 힘에 의존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이 그 이유일 수도 있겠는데요.

하지만 최근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을 자동으로 해주는 서비스, 건축 렌더 이미지를 십수초 안에 생성해내는 회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제가 굉장히 흥미롭게 접한 LookX라는 AI 렌더링 서비스를 사용해보고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https://www.lookx.ai

최신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이름이 Look'X'라서 처음에는 이것도 머스크의 새로운 사업인가?라는 생각도 했지만 딱히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Next generation AI platform for architects & designers', 즉 건축가와 디자이너를 위한 차세대 AI 플랫폼을 표방하고 있는데요, 위 사진처럼 기초적인 라인 드로잉에 재료를 입히고 렌더샷으로 보정해주는 것을 보면 굉장히 혁신적인 툴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reddit

하지만 샘플 이미지와 실제 작동하는 모습이 동일할지는 알 수 없는 노릇, 이전에 제가 작업했던 라인 드로잉 이미지나 간단한 렌더샷을 어떻게 보정해줄지 직접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준비한 이미지는 이전 포스트에도 올렸던 안도의 키도사키 주택의 렌더샷 캡쳐와 개인 프로젝트의 라인 드로잉 총 2장입니다.

 

구글 아이디 등으로 로그인해서 start creation을 눌러 제작 화면으로 넘어가면 좌측의 사진처럼 Conceptual-linear, Conceptual-with light and shadow, 그리고 Detailed model 3가지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나옵니다. 준비한 이미지 두 장 모두 어느 정도는 디테일이 들어있으니 3번째 옵션으로 테스트를 해봅니다.

옵션을 선택한 다음부터 이미지 생성에 사용자가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은 크게 3가지입니다. Stable Diffusion, Midjourney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했다면 익숙하실 프롬프트를 이용해 생성할 이미지를 정의하는 부분, 이미지 생성의 기반이 될 기초 이미지를 올리는 부분, 그리고 상상하고 있는 렌더샷과 유사한 레퍼런스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좌: 프롬프트 Ando Tadao's concrete building을 넣었을 때, 우: 프롬프트 없이 했을 때

프로모션 기간이라 첫 이용자에게는 100장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크레딧을 주어서 프롬프트나 레퍼런스 이미지 등을 바꿔보면서 테스트를 해보았고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프롬프트와 레퍼런스 이미지의 fitting을 통해서 원하는 이미지를 도출한다?라고 하기에는 아직은 좀 부족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base image의 퀄리티 혹은 엔진과의 적합도가 더 주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좌: Style Reference Image가 없이 작업, 우: Iwan Baan의 사진을 레퍼런스로 작업

두 작업물을 비교해보면 렌더샷과 라인 드로잉 사이의 퀄리티 차이가 유의미한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렌더샷의 경우 천장을 투명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빛 처리도 논리적이지 않은 부분이 많아 사용하기 어려운 이미지가 생성된 반면, 라인 드로잉의 경우 재료의 표현도 상당히 디테일하게 잘 되어있고 배경이나 광원 처리가 일관적으로 잘 되어있는 모습입니다.

https://www.lookx.ai

홈페이지에서도 주로 라인 드로잉을 베이스로 생성한 이미지들을 샘플로 보여주는 것을 보면 LookX 엔진의 학습 데이터에 상대적으로 라인 드로잉이 많고 따라서 이에 대한 적합도도 높은 것을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이전에 다른 AI 렌더링 툴을 사용해보았을 때는 내가 원하는 건물의 형태, 재료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못해서 실제로 사용하기 아쉬웠다면 이번의 경우는 여기서 조금만 더 기술이 발전한다면 AI를 활용한 렌더링 이미지를 파이널에서도 사용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dosaki House / 키도사키 주택  (0) 2021.02.28
Maison Citrohan(1922)  (0) 2021.02.10
Sumiyoshi Row House / 스미요시 주택 (2)  (0) 2021.02.05
Sumiyoshi Row House / 스미요시 주택 (1)  (0) 2021.02.04
라이노 플러그인 설치법  (0) 2020.11.02